파이썬에는 포인터가 없다 파이썬에서의 none 0과 null의 차이 null은 포인터변수인데 초기화가 안된 형태 0은 공간은 마련되어있는데 들어가있는 숫자가 0임 https://brownbears.tistory.com/127 None을 반환하는 함수가 오류를 일으키기 쉬운 이유는 None이나 다른 값(예를 들면 0이나 빈 문자열)이 조건식에서 False로 평가되기 때문 None보다는 예외를 일으키는 것이 깔끔 함수는 항상 return 값을 반환해야 합니다. 만약 return 값이 함수 내에 정의되어 있지 않다면 함수 정의 가장 마지막줄에 reutrn None이 생략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파이썬 내부적으로 처리하게 됩니다
수치자료형 - int, float, complex 불자료형 - bool (True or False) 군집자료형 - str, list, tuple, tuple, set, dict type() 함수로 자료형 확인 가능 군집자료형 문자열 str 순서O, 중복O, 변경X 문자열은 기본적으로 ‘ ’, “ ”로 감싼다. 긴 문자열은 \를 사용하여 여러줄에 입력할 수 있다. 여러 문장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 ’‘’, “”“ ”“”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입력한 모습 그래도 저장됨) 순서가 있기 때문에 인덱스(s[6]), 슬라이싱(s[2:8])을 사용할 수 있다. 변경이 불가능(immutable)해서 인덱스로 한 단어 수정 불가 문자열의 길이는 len() 함수로 알 수 있다. 문자열은 더하기(+), 곱하기(*) 가..
파이썬에서 언더스코어(_)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된다. (의미없는 리턴값 받을 때) 인터프리터(Interpreter)에서 마지막 값을 저장할 때 값을 무시하고 싶을 때 (흔히 “I don’t care”라고 부른다.) 변수나 함수명에 특별한 의미 또는 기능을 부여하고자 할 때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 i18n)/지역화(Localization, l10n) 함수로써 사용할 때 숫자 리터럴값의 자릿수 구분을 위한 구분자로써 사용할 때 1. 인터프리터에서 사용되는 경우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선 마지막으로 실행된 결과값이 _라는 변수에 저장된다. 이는 표준 CPython 인터프리터에서 먼저 사용되었으며 다른 파이썬 인터프리터 구현체에서도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 10 10 >>> 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