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의 Asterisk(*)는 크게 4가지 상황에서 사용된다. 곱셈 및 거듭제곱 계산할 때 리스트를 반복 확장할 때 가변인자 컨테이너 타입의 데이터를 unpacking 할 때 1. 곱셈 및 거듭제곱 계산할 때 2 * 4 #8 2 * 4 #16 2. 리스트를 반복 확장할 때 list, tuple과 같이 list container type에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zeros1 = [0] * 10 #[0, 0, 0, 0, 0, 0, 0, 0, 0, 0] zeros2 = (0,) * 10 #(0, 0, 0, 0, 0, 0, 0, 0, 0, 0) 3. 가변인자(Variadic Parameters)로서 사용 파이썬에서는 다음과 같이 2가지 종류의 인자가 있다. positional arguments..
분류 전체보기
보수 개념과 파이썬 ~x 연산 (Bitwise reversion) 파이썬에서 ~ 연산 설명이 레퍼런스에서 다음과 같이 되어있다. Returns the complement of x - the number you get by switching each 1 for a 0 and each 0 for a 1. This is the same as -x - 1. (https://wiki.python.org/moin/BitwiseOperators) complement(보수)의 개념과 bitwise reversion 연산을 알아보자. 보수(complement) 사실 컴퓨터는 - 연산 개념이 없다. 컴퓨터에서 2-1을 계산할 때 보수를 생성하여 2+보수값=1 로 계산한다. 즉, 보수는 컴퓨터에서 뺄셈 연산을 하기 위해 사..
1. 비트 연산자(Bitwise Operators) & (Binary AND) : bit 단위로 and연산을 한다. | (Binary OR) : bit 단위로 or연산을 한다. ^ (Binary XOR) : bit 단위로 xor연산을 한다. ~ (Binary NOT) : bit 단위로 not연산을 한다.(1의 보수) > (Binary right Shift) : bit 단위로 오른쪽으로 비트단위 밀기 연산을 한다. 비트 단위로 연산을 수행한다. 0은 거짓으로 1은 참으로 연산하여 결과를 1과 0으로 반환한다. "^(xor)"연산은 두개의 값이 다를 때만 참인 연산이다. " ~(not)" 연산은 1의 보수를 구한다. 컴퓨터에서는 뺄셈을 2의 보수를 덧셈하여 처리한다. ">" 연산은 오른쪽으로 1비트 밀때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