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 print의 end 속성 lst = [1,2,3,4,5,6,7,8,9] for i in range(len(lst)): print(lst[i], end=' ') #1 2 3 4 5 6 7 8 9 #2. join 사용 lst = [1,2,3,4,5,6,7,8,9] print(' '.join(lst)) #TypeError: sequence item 0: expected str instance, int found 문자가 아닌 원소들로 이루어진 리스트는 join 함수 사용이 불가능하다. lst = ['H','E','L','L','O'] print(' '.join(lst)) #H E L L O
1. Stringify 간단한 방법으로는 정수를 string으로 형변환하여 list로 받아 쪼개고, 필요에 따라 각 원소를 다시 정수로 변환한다. n=123456 list(map(int,str(n))) #[1, 2, 3, 4, 5, 6] 2. 10진수 이를 몫과 나머지(//와 %)를 이용하여 해결해본다. input number의 전체 자릿수만큼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계산을 반복한다. 10진수이므로 밑 자리에 10을 사용했다. 이를 바꾸어 2진수, 8진수, 16진수 등으로 활용가능하다. def deci(input): output = [] totaldigit = len(str(input)) for i in range(totaldigit) : output1 = input % 10**(totaldigit-i) ..
한수 문제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문제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1065 풀이 과정 . . . . . . . . . . #1. 정수를 string으로 변환하여 자릿수별로 쪼갠다. 100 미만의 수는 모두 등차수열임을 if문으로 해결한다. 앞뒤 차이를 비교하여 등차수열인지 판별한다. def ari(n)..
noodle-dev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4 Page)